간월암(看月庵)-하루에 두번은 뗏목을 타고가는 곳
고려말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수도를 하다 문득 도를 깨우치고나서 이곳을 달을보고 도를 깨우쳤다하여 "간월암(看月庵)" 이라 하고, 이 조그만 섬을 "간월도(看月島)" 라 하였다고 한다.
"간월도(看月島)" 는 하루에 두번, 밀물때는 섬이되어 뗏목을 이용하여 들어갈수 있고, 썰물때는 물이 빠져 자갈길을 걸어서 들어갈수 있다.
마침 이날은 물이 빠져 있어 걸어서 "간월암(看月庵)" 을 들어갈수 있었다..
마침 물이빠져 육지와 연결된 "간월도의 간월암" 전경... (앞에 물이들때 사용하는 뗏목(줄배)이 보인다..)
물이빠진 자갈길을 지나 "간월암" 을 오르는 계단밑에는 많은 사람들의 기원을 담고있는 "돌탑" 들이 있고 "해탈문"이 나온다.
"간월암" 을 들어서면 입구에는 200여년을 이곳을 자리하고 있는 "사철나무"가 "간월암" 을 지키고 서있다..
간월암은 조선초기 "무학대사" 가 창건하였다고 하며, 무학대사는 태조 이성계의스승으로 한양을 도읍지로 정하는 등 조선의 건국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.
그후 조선 왕조의 배불(排佛) 정책으로 "간월암" 도 완전 폐사(閉寺) 되었으나, 1941년 "만공선사"가 중창을 하였고, 이곳 간월암에서 천일기도를 올렸는데 기도 2일만에 광복의 기쁨을 맞이하였다고 하며, "간월암"은 조선의 건국과 함께 조국 해방의 초석이 되는 의미깊은 도량이기도 하다 한다.
"간월암" 은 사방이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물이 차있을때는 바다위에 뜨있는듯한 신비스러움을 간직하고 있다.
또한 이곳에서 바라보는 천수만의 "낙조" 는 어디에서도 볼수없는 또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곳이라 한다.
언젠가 아름다운 "낙조" 를 보기 위해 이곳을 다시 찾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..
물이 차있을때 뗏목(줄배)을 이용하여 "간월암" 을 들어가고 있는 모습과 "간월암" 건너편에서 바라본 "간월암의 낙조" 풍경 (서산 인터넷 뉴스 에서 발췌)